야뇨증
밤마다 오줌 지리는 아이
혼내도 고쳐지지 않아요.
야뇨증은 아이를 혼내서 고칠 수 있는 증상이 아닙니다.
무조건 혼내기만 한다면 증상이 더 자주 반복되고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야뇨증 정의
밤마다 이불에 오줌 지리는 아이, 이유는?
야뇨증(enuresis)이란 5세 이상에서
비뇨기계에 뚜렷한 이상이 없고
낮 동안에는 소변을 잘 가리다가
밤에만 오줌을 지리는 것을 말합니다.
한의학에서 이야기하는 야뇨증
유뇨(遺尿), 요상(尿床)이라고 하며,
선천적 또는 후천척으로 아랫배 부위가 허하고 차서
신(腎), 방광(膀胱)의 기능이 약하거나, 비폐(脾肺)의 기가 허하여 생깁니다.
두뇌 발달과 신체 건강의 조화를 위한
‘신뇌건’ (身腦健) 프로그램
건뇌총명단
두뇌 발달을 촉진시키고 건강한 두뇌 활동을 돕는 한약
틱, ADHD, 발달장애, 경도인지장애 등에 사용되며
손상된 뇌기능을 회복시켜주고 기억력을 회복시켜주는 기능 작용
오랜 연구와 개발 끝에 건뇌총명단 특허취득!
차별화된 의료진과
믿을 수 있는 약재가 만나
더욱 특별한 해든한의원만의 치료한약
개인은 모두가 다 다르기에 한분 한분 차이를 고려하여 맞춤처방합니다.
차별화된 의료진의 믿을 수 있는 처방에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GMP인증 한약재만을 사용하여 더욱 더 특별하게 다려냅니다.
야뇨증 원인
야뇨증, 왜 나타날까요?
한의학에서는 야뇨증의 원인을 선천적으로 비뇨기계가 미성숙하거나 간의 기운이 한 곳에 뭉쳐있는 경우,
폐의 기운이 약한 경우 방광 조절기능이 부족하여 생기는 것으로 봅니다.
또한 야뇨증이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야뇨증 때문에 정신적인 문제가 발생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유전적 원인
부모 모두 야뇨증이 있었던 경우 77%
한쪽만 있었던 경우 44%
부모 모두 없었던 경우 15%
기타 원인
기능적 방광용적의 감소, 수면 시 각성장애
정신장애나 행동장애, 알레르기 반응
요로감염, 신경계통의 성숙지연 등
최근 이론
항이뇨호르몬의 야간 미증가로
밤에도 소변이 많이 만들어져 야뇨증 발생
야뇨증 증상
5세 이상, 낮 동안에는
소변을 잘 가리다가
밤에만 오줌을 지리는 경우
다음 증상들로 야뇨증을 분류합니다.
원발성
태어날 때부터
지속되는 경우
속발성
최소 6개월이상 야뇨증 없는
기간이 있다가 발생한 경우
다 증상성 야뇨증
요절박, 절박성 요실금, 빈뇨
증상 등을 동반한 경우
단일 증상성 야뇨증
다른 배뇨 증상 없이
야뇨증만 있는 경우
해든한의원의 야뇨증 치료
선천적, 후천적으로 약한 방광기능을
강화하여 치료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야뇨증을 선천적으로 비뇨기계가 미성숙하거나 간의 기운이 한 곳에 뭉쳐있는 경우, 폐의 기운이 약한 경우 방광 조절기능이 부족하여 생기는 것으로 보고, 폐와 비를 튼튼하게 하고 뭉쳐있는 간의 기운을 풀어주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한방신경정신과 10년 외길, 해든한의원 박대명 원장
한방신경정신과 질환을 위해 한 길만을 걸어왔습니다.
차별화된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한의학박사 박대명 원장
한방 전문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련을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자격인정을 받아야합니다. 6년의 한의대 교육 이후 4년의 대학병원 수련을 거쳐 배출되는 한방 전문의는 한의사의 2~30% 중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는 전체 23,000명 한의사 중 약 1%의 희소한 자격과정입니다.
동원 이정래 선생과 수제자
이상철 선생의 계보를 잇는
‘전통한의학’을 기반으로 한 치료
한의사들의 스승, ‘의역동원’ 이론으로 방대한 저서를 남겼고 허준과 이제마에 못지않은 학문적 업적을 남긴 동양의학자인 동원 이정래 선생, 그리고 그의 수제자인 오당 이상철 선생의 뒤를 이은 정통 한의학을 기반으로 한 ‘전통한의학’을 기본 바탕으로 진단하고 치료합니다.
대학 겸임교수 강의 활동으로
한방신경정신과를 선도하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해든한의원 박대명 원장은 10년간의 전문적인 한방신경정신과 진료 시스템 노하우로 대학 겸임교수 강의 활동으로 한방신경정신과를 선도하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