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스펙트럼장애

자폐증은 평생 간다던데
정말 나아질 수 있을까요?

증상 아닌 원인을 치료하면 자폐증도 충분히 나을 수 있습니다.
해든한의원에서는 우리 아이의 미래를 포기하지 않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정의

우리아이, 이대로 둘 수밖에 없나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란 의사소통의 문제, 사회성의 결여,
반복적이고 제한된 행동 양상을 주 증상으로 하는 발달성 장애입니다.
이전의 DSM-IV(미국정신의학회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에서는 이를 전반적 발달장애로 보고
자폐장애, 아스퍼거증후군, 레트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등으로 구분하였으나
최신 DSM-5 진단기준에서는 ASD의 진단범주로 통합되었습니다.

한의학에서 이야기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의사소통 장애, 언어장애와 인지장애, 과잉행동, 공격적 행동 등의 증상에 따라
치증(痴症), 전광증(癲狂症), 오연(五軟), 오지(五遲), 오경(五硬)의 범주로 보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미 ‘제수자, 개속우뇌(諸髓者, 皆屬于腦)’,
‘두자, 정명지부(頭者, 精明之腑)’라 하여 뇌의 기능이 정신활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뇌 생명활동과 언어, 운동, 인지, 감각관련 기능 활동을 주관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두뇌 발달과 신체 건강의 조화를 위한

‘신뇌건’ (身腦健) 프로그램

건뇌총명단

두뇌 발달을 촉진시키고 건강한 두뇌 활동을 돕는 한약

틱, ADHD, 발달장애, 경도인지장애 등에 사용되며
손상된 뇌기능을 회복시켜주고 기억력을 회복시켜주는 기능 작용

오랜 연구와 개발 끝에 건뇌총명단 특허취득!

건뇌총명단(健腦聰明丹)

건뇌총명단(健腦聰明丹)은 기존 총명탕 처방에 뇌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두뇌 신경세포망 연결을 저해하는 물질을 제거하여 건강한 두뇌활동을 돕는 약재들을 추가한 해든한의원만의 특별한 처방입니다. 현대과학적 방법으로 진행된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총명탕이 학습과 기억력을 회복시킨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으며, 특히 경도인지장애, 치매 등 뇌기능 손상의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해든한의원은 기존 총명탕 처방에 한방신경정신과학 연구진에 의해 보강된 건뇌총명단을 처방하여 두뇌 발달 및 활성을 도와 틱, ADHD, 발달장애, 경도인지장애 등의 질환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차별화된 의료진과
믿을 수 있는 약재가 만나
더욱 특별한 해든한의원만의 치료한약

개인은 모두가 다 다르기에 한분 한분 차이를 고려하여 맞춤처방합니다.
차별화된 의료진의 믿을 수 있는 처방에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GMP인증 한약재만을 사용하여 더욱 더 특별하게 다려냅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원인

자폐증은 왜 생기는 걸까요?

한의학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원인을 선천품부부족(先天稟賦不足), 간신휴손(肝腎虧損), 심규불통(心竅不通), 뇌수실충(腦髓失充), 신실소양(神失所養),
오장정기불능상영원신지부(五臟精氣不能上榮元神之府) 등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연관된 심(心), 간(肝), 신(腎) 장부와 병변의 위치인 뇌를 다스리는 방법으로 자폐증의 한의학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

유전률은 80%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광의의 자폐표현형 포함)
다수 유전자의 변이에 의한 복합유전질환이라고 판단됩니다.

뇌 영상 연구

자폐증 증상을 보이는 아동의 뇌영상을 연구한 결과, 3세 이전에 뇌편도의
과성장이 일어나고 성장에 따른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신경생물학적 요인

뇌의 흥분성 신경성과 억제성 신경의 불균형, 세르토닌 시스템의 불균형 등
다수의 신경화학적 시스템이 상호작용하면서 ASD의 병리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폐증 증상

자페증은 조기 발견 후 빠른 대처가 필요합니다.

많은 소아가 12~24개월 사이에 발달 이상을 보이며, 일부는 12개월 이전에 위험 징후를 보입니다.
눈을 마주치지 않고 언어발달이 늦으며(혹은 말을 안함), 의미없는 소리를 지르거나 몸을 흔들고 반복적인 행동을 하는 등 정상적인 발달단계와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면 전문가와 상의하시는 게 좋습니다. ASD의 70~75%는 지적장애를 동반하게 됩니다. 지능이 낮을수록 사회적 적응이 좋지 않고, 상동행동과 자해 등 행동문제를 더 많이 보이며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지적장애, 조기발병형 조현병, 감각기관의 장애, 강박장애 등의 감별진단이 필요하며, ADHD, 틱장애, 뇌전증 등 해결되지 않는 공존질환이 있는 경우 ASD의 핵심증상의 치료가 저해될 수 있고 삶의 질이 더욱 좋지 않습니다.

증상 1.

눈을
마주치지
않음

증상 2.

얼굴표정이 없거나
사람을 보고
웃지 않음

증상 3.

혼자 놀거나
또래에
관심이 없다.

증상 4.

단어나 문장을 반복하거나
상대방 하는 말을
의미없이 반복한다.

증상 5.

한두가지
물건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증상 6.

작은 변화도
싫어하고
고집을 부린다.

증상 7.

몸을
반복적으로
움직인다.

증상 8.

머리를 박거나
손목을 무는 등
자해행동을 한다.

해든한의원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장부의 허약이
원인인 복합적인 허약증입니다.

한의학에서는 불인친소(不認親疏), 불선교제(不善交際), 표정담막(表情淡漠), 불능언어(不能言語), 언어중복(言語重復), 발음괴이(發音怪異), 독자언어난이이해(獨自言語難以理解), 행위괴이(行爲怪異) 등의 증상에 따라 정지조절(精志調節), 성뇌개규(醒腦開竅), 영심안신(寧心安神)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를 자폐 아동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요 변증유형인 간신휴손(肝腎虧損), 기혈허약(氣血虛弱), 심기부족(心氣不足), 심간화왕(心肝火旺), 담미심규(淡迷心竅)에 따라 환자별 변증유형과 허실을 분별하여 기능을 회복시키며 기혈운행(氣血運行)을 순조롭게 하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뇌의 기능호전 및 발달에 효과가 있는 건뇌(健腦), 익지(益智), 양신(養神), 강지(强志) 등의 한약물을 투여하여 양호한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양방에서는 현재,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핍이나 의사소통 문제의 보전보다는 불안이나 우울, 강박증, 과잉행동, 주의력 결핍, 수면문제, 긴장증(catatonia) 등의 동반 증상이나 공격성, 자해, 심한 상동행동 등과 관련된 문제를 치료 목표로 하여 약물치료를 합니다.

한방신경정신과 10년 외길, 해든한의원 박대명 원장

한방신경정신과 질환을 위해 한 길만을 걸어왔습니다.

차별화된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한의학박사 박대명 원장

한방 전문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수련을 거쳐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자격인정을 받아야합니다. 6년의 한의대 교육 이후 4년의 대학병원 수련을 거쳐 배출되는 한방 전문의는 한의사의 2~30% 중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는 전체 23,000명 한의사 중 약 1%의 희소한 자격과정입니다.

동원 이정래 선생과 수제자
이상철 선생의 계보를 잇는
‘전통한의학’을 기반으로 한 치료

한의사들의 스승, ‘의역동원’ 이론으로 방대한 저서를 남겼고 허준과 이제마에 못지않은 학문적 업적을 남긴 동양의학자인 동원 이정래 선생, 그리고 그의 수제자인 오당 이상철 선생의 뒤를 이은 정통 한의학을 기반으로 한 ‘전통한의학’을 기본 바탕으로 진단하고 치료합니다.

대학 겸임교수 강의 활동으로
한방신경정신과를 선도하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해든한의원 박대명 원장은 10년간의 전문적인 한방신경정신과 진료 시스템 노하우로 대학 겸임교수 강의 활동으로 한방신경정신과를 선도하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